2010년 3월 15일 월요일

가상메모리 관련

[가상메모리(페이징파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하기]

 

1. 시작 -> 실행 에서 regedit 입력하여 레지스트리편집창을 띠웁니다.

 

2.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을 연 뒤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Control / Session Manager / Memory Management 를 찾는다. 

    오른쪽 창에서 DisablePagingExecutive 를 마우스로 두 번 누릅니다.

    오른쪽 창에 없다면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새로 만들기 ->

    DWORD 값을 골라 새 키 를 만들고. 이름을 DisablePagingExecutive로 바꿉니다.

 

 

3. DWORD 값 편집 창이 열리면 값 데이터(V) 에 값을 1  로 입력 합니다.

      단위 항목에서 16진수(H)에 체크합니다.

      이제 레지스트 편집기를 닫습니다.

 

4. 시작 -> 설정 -> 제어판 -> 시스템을 클릭하고 시스템등록정보 를 띄우고 고급 탭을 클릭합니다.

성능에서 설정 을 클릭합니다.

 

5. 고급 -> 가상메모리 -> 변경 클릭합니다.

 

6. 페이징 파일이 있는 드라이브 (보통 윈도우 시스템이 깔린 C: 드라이브)를 고르고,

   페이징 파일 없음 에 체크하고 -> 설정 버튼을 클릭하고 -> 확인을 클릭합니다.

   하드가 분할되있으면 각 드라이브 모두 페이징 파일 없음 으로 설정해 줍니다.

   그리고 윈도우를 다시 시작하면 페이징 파일을 실제 메모리로 사용하게 됩니다.

 

7. 재부팅 하셨으면 린2 실행해서 로딩및 장시간 게임속도를 체크해 봅니다.

 

변화가 없다, 별로다, 다른프로그램 실행에 에러가 뜬다 하시는분들은

3번에 레지스트리 설정값을 0 으로 변경하시고

6번에 가상메모리설정에서 시스템이관리하는크기

원래설정돼있던 사용자지정크기 값을 입력해주시고 재부팅 하시면 됩니다.

 

또한 가상 메모리는 윈도우즈의 부담을 덜기 위해 윈도우즈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파디션으로 지

정해 주길 권합니다. 다시 말해서

파티션이 나눠져 있을시에 보통 윈도우가 설치된 c드라이브엔 페이징파일 없음이라고

설정하고 다른드라이브에 페이징파일을 설정하 시는게 윈도우의 전체적 시스템향상에 좋다고 합니다.

 

 

 

<참고글> - 가상메모리에대해 검색하고 정리해본 글

----------------------------------------------------------------------------------------------------

과거 램용량이 적고 비쌌던시절

램용량이 적으면 윈도우가 스스로 인식하여 하드디스크 일부분을 램으로 사용하는 윈도우즈의

기술로 가상메모리 라는게 생겨났습니다.

쉽게 말씀드려 윈XP의 최소 요구 메모리는128MB 일때 64MB 가 장착된 시스템 에서도

부팅이 되는 이유는 나머지 필요한 부족분을 하드디스크의 가상 메모리를 이용합니다.

 

페이징 파일은 하드디스크의 일부 공간을 메모리로 사용하는것이고 이방식을 페이징 이라고 합니다.

 

즉, 가상메모리는 하드디스크의 일부공간을 메모리처럼 이용하는 기술을 총칭하는 것이고

페이징 파일은 이 가상 메모리를 운영하는 윈도우즈의 메모리 기법입니다.

과거 운영체제에선 스왑 이라고 하다가 XP 등에 와서는 페이징 이라고 합니다.

스와핑, 페이징, 가상메모리 서로 연관해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페이징 파일을 램(메모리)에 두려합니다.
메모리가 좋은 것은 하드디스크를 거쳐 메모리로 불러오는 속도보다 곧바로 램(메모리)으로 불러오는

속도가 훨씬 빠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페이징은 과거 램(메모리) 용량이 작고, 값이 비싸서 용량 확보가 어려운 시절에

하드디스크를 메모리처럼 쓰기 위해 나온것이고

지금처럼 1기가 이상의 램(메모리)을 사용한다면 PC가 현재 작업하는 데이터의 대부분을

램(메모리)에 담아둘 수 있다고 합니다. 굳이 느린 하드디스크로 넘길 필요가 없는것입니다.

그래서 램(메모리)이 2기가 이상이라면 페이징을 하지 않는게 오히려 성능을 높힌다고도 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