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14일 일요일

만능고스트 제작 : Windows Xp 프로페셔널 - 볼륨

지원하는 운영체제 : WinXP/2003

 

해쉬값이란? [여기]

 

(2010/03/11)강좌가 대폭 수정되었습니다. 읽었던 분들도 다시 한번 필독하시길 바랍니다.

 

목차 :

   ▷강좌의 개요

   ▶1부 - XP 만능고스트 제작 강좌 - 프로페셔널 볼륨 라이센스
   ▷2부 - XP 만능고스트 제작 강좌

   ▷3부 - 서버 2003 만능고스트 제작 강좌 - 볼륨 라이센스 [준비 중]

   ▷4부 - 서버 2003 만능고스트 제작 강좌 [준비 중]

 

만능고스트란?
본칭은 "Sysprep 배포 이미지"이며 Sysprep로 봉인한 윈도우를 고스트로 백업한것을
만능고스트라 칭한다. Sysprep란 System Preparation의 약자로 자신의 시스템(윈도우 환경)을
다른 컴퓨터에도 배포, 이식할수 있게 해주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내장 도구이다.

일반적으로 자신의 윈도우즈를 백업하여 이기종의 컴퓨터에 복원하면 블루스크린이 뜨며
부팅이 안되는것을 확인할수 있다. Sysprep는 자신의 윈도우즈를 다른 컴퓨터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부팅할수 있게 시스템을 봉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Sysprep는 최종 사용자에게 컴퓨터를 배포하기 위해 윈도우즈를 공장 출고 상태로
봉인할때에도 사용된다.

만능고스트라는 단어 자체가 Sysprep로 봉인된 윈도우즈를 최초로 백업해 관리하던 툴이
고스트라서 생겨난 말이기도 하다. 현재는 고스트 말고도 트루이미지나 ImageX등의
타 이미지 백업 유틸도 자주 활용되고 있으며 주로 용도는 전산 관리시에나
컴퓨터 A/S에 활용함으로서 시간과 작업량을 단축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다.

 

강좌가 완전히 새로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기존의 수동식 진행이 아닌 오프라인 도움말을 통한 반자동 진행으로 바뀌었습니다.

더불어 문제점을 수정하고 여러 개선점들을 반영하여 큰 폭으로 변화가 있었습니다.

기존의 PREP_xxx.exe로 진행하시던 분들은 봉인 도구를 즉시 교체해주시길 바랍니다.

 

이토록 오프라인식 강좌를 고집하는 이유는 바로 폐쇄적인 만능고스트 제작 환경 때문입니다.

작업 특성상 최대한 드라이버를 설치하지 않고 진행해야 하는데

고작 만능고스트 제작 방법을 보기 위해 인터넷에 연결한다면? 난감하겠죠...?

그런 환경을 최대한 고려하고 원클릭이면 원클릭, 정말 몇 안되는 과정만 거치면

뚝딱 만들어지게끔 있는 자투리 시간은 다 투자하여 완성하였습니다.

윈도우에 대한 제반 지식과 고스트 사용 방법만 아신다면 제작 과정은 누워서 떡먹기입니다.

 

서문에서도 정말 쉬움을 강조하고 또 강조하였습니다. 그만큼 "쉽습니다".

눈 딱감고 마우스만 몇번 딸깍거려주면 어디서나 복원 가능한 자신만의 만능고스트가 완성됩니다.

 

개요를 읽지 않고 오신분들은 상단 목차의 강좌의 개요를 살펴보고 오시길 바랍니다.

 

모든 준비를 마치셨다면 아래 파일을 받아주시길 바랍니다.

 

오프라인 강좌 다운로드 :

 

다운로드

MD5 해쉬값 : 4946B0EEBF6A3E11C42BDFE2D09F2706

 

받으시면 zip파일이 하나 있을겁니다. 그안에 PREP2_XP_VLK.EXE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 파일을 실행하시면 도움말이 하나 뜰겁니다. 강좌는 그 도움말로 대신합니다.

만능고스트 제작 환경에서 실행해 주시면 됩니다. 그전에 강좌 내용 확인차 한번 실행해서

미리 핵심을 숙지하고 작업에 돌입하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이 파일은 오직 XP에서만, 그것도 SP2 이상의 환경에서만 실행 가능 합니다.

다른 윈도우에서 실행하면 아무것도 뜨지 않으니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개선사항(2010/03/10)
  ◈일부 스크립트, 강좌 내용 수정

 

개선사항(2010/03/07)
  ◈WGA 인증 과정 다시 추가/패치 방법 수정 (선택 과정)
  ◈복원 이후 요청 오류 수정

 

개선사항(2010/03/06)(2nd)  
  ◈중복 인증 수정
  ◈전체적인 내용 업데이트 (처음부터 끝까지 다시한번 필독 바랍니다.)

 

개선사항(2010/03/06)(1st)
  ◈도움말 + 반자동 진행식 채택
  ◈드라이버 추가시 경로 오타 수정
  ◈SmartDrvs2009 추가 방식 수정
  ◈복원 이후 C:\Windows\RunOnce.cmd가 삭제되지 않던 문제 수정
  ◈마지막 임시파일삭제 과정 자동화
  ◈인증 체계 완벽 수정 (MSE 통과)
  ◈WGA 통과 인증 자동화
  ◈newprep.ini 대륙문자 정리
  ◈그 외 진행 과정 일부 간소화...

 

스크린샷 :

 

댓글 없음:

댓글 쓰기